[Posting : 2025.04.12] 반도체 파운드리 업계에서는 제법 형님이 된 회사인데 항상 1등만이 돈을 엄청 많이 벌지만 2등과 3등은 흑자, 적자를 왔다갔다 반복하는 생태계입니다. 그중 싱가포르 반도체 자존심(?)이라고 하면 애매하고 독일, 미국에 FAB이 있고 본사가 미국이니 미국회사인 Global Foundires가 있습니다. 거슬러 올라가면 AMD에서 FAB 부분을 분사하여 독일 Dresden에 40nm급 공정을 보유하고 있다가 UAE 국부펀드라고는 하는데 아부다비의 ATIC(Oil Money의 대표주자) 투자회사가 2009년에 차터드 반도체 (Chartered Semiconductor)를 인수하여 200mm, 300mm 라인을 모두 보유하면서 덩치를 키웠습니다. 이후 TSMC, Samsung Foundry와 같이 Finfet base의 7nm 공정개발을 하다가 막대한 투자가 들어가는 부분을 감당하지 못해 돌연 사업을 접고 10nm급 이후 Legacy 공정에 집중을 하고 있는데 돈은 잘 벌지는 못하지만 Specialty 공정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나름 시장에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 보면서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GlobalFoundries 연혁 및 주요 정보: 2024년
GlobalFoundries는 2009년에 설립된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으로,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수적인 반도체 솔루션을 제공하며, 지속적으로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GlobalFoundries의 설립 연도, 주요 연혁, 제조 시설, 상장 정보, 및 기업 개요를 소개하겠습니다.
GlobalFoundries 주요 연혁
- 2009년 3월: AMD의 반도체 제조 부문을 분사하여 GlobalFoundries 설립
- 2009년 12월: Chartered Semiconductor를 인수하여 싱가포르의 제조 시설 확장
- 2014년 10월: IBM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사업부를 인수, 미국 뉴욕주의 주요 생산 공장 확보
- 2018년 8월: 7nm 공정 개발 중단 발표, 기존 공정 기술에 집중
- 2021년 10월: 나스닥 상장 및 기업 공개(IPO)
- 2023년 9월: 미국 국방부와 10년 계약 체결, 보안 반도체 공급 확대
- 2024년 2월: CHIPS Act에 따라 15억 달러 규모 지원금 수령, 뉴욕주 말타 및 벌링턴 공장 확장
GlobalFoundries 주요 제조 시설
- 미국: 뉴욕 말타(Fab 8), 벌링턴(구 IBM Fab 9), 이스트피스크힐(구 IBM Fab 10)
- 독일: 드레스덴(Fab 1)
- 싱가포르: 우드랜드(Fab 2, 3, 5, 6, 7), FAB3E (템파니스 : VIS에 매각)
GlobalFoundries 기업 개요
- 설립 연도: 2009년
- 본사 위치: 미국 뉴욕주 말타
- 상장 연도: 2021년
- 상장 시장: 나스닥(NASDAQ)
- 상장 주식 코드: GFS
- 최대 주주: UAE 국부펀드 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82% 지분 보유) : ATIC 투자회사 "만수르"가 속해있는 동네임
- 직원 수: 약 13,000명 (2024년 기준)
싱가포르 글로벌 파운드리스(GF, GlobalFoundries) 2024년 기준 - 매출, 시장 점유율, FAB 현황, 기술 로드맵 (BCD 및 Silicon Photonics 공정 기술) 정리
2024년 GlobalFoundries 매출 및 영업 성과
2024년 GlobalFoundries는 약 67억 5,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영업 손실은 약 2억 1,4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비IFRS 기준으로 영업 이익은 약 9억 2,000만 달러에 달하며, 회사는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 매출: 약 67억 5,000만 달러 (전년 대비 감소)
- 영업 손실: 약 2억 1,400만 달러
- 비IFRS 영업 이익: 약 9억 2,000만 달러
GlobalFoundries의 시장 점유율
GlobalFoundries는 **7~8%**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요 경쟁사로는 TSMC, 삼성전자, UMC, SMIC 등이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스마트 모바일 기기, IoT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GlobalFoundries FAB 현황
GlobalFoundries는 전 세계 여러 **FAB(반도체 제조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미국: 뉴욕 말타(Malta) 및 버몬트 벌링턴(Burlington)에서 중요한 생산 시설을 운영 중입니다.
- 유럽: 독일 드레스덴에서 300mm 웨이퍼 생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아시아: 싱가포르 및 중국 청두에 생산 시설을 두고 있으며, 주요 지역으로 싱가포르는 고급 공정 기술 개발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에는 300mm FAB6, 7, 200mm FAB2, 3, 5 보유)
Silicon Photonics 공정 기술
GlobalFoundries는 실리콘 포토닉스(Silicon Photonics) 기술을 통해 고속 데이터 전송, 광섬유 통신, 데이터 센터 간 연결 등 고성능 통신 및 센서 응용 분야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45nm RF-SOI 공정을 이용한 "FOTONIX" solution 제공 중
주요 특징:
- 광학 소자 (Photonic IC)와 CMOS 공정 (Electrical IC) 통합
- 고속 데이터 전송과 저전력 소모를 특징으로 합니다.
- 고속 통신 및 센서 기반 응용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BCD (Bipolar-CMOS-DMOS) 공정 기술
BCD 공정은 전력 관리, 자동차, 산업 제어 시스템 등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다양한 트랜지스터 유형을 통합하여 고성능, 고효율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BCD 기술 특징:
- Bipolar, CMOS, DMOS 트랜지스터 통합
- 전력 관리 및 모터 제어 시스템에 적합
- 고전압 및 고전류 처리 능력을 제공
BCDLite® 공정:
- 5V~65V 전압 범위 지원
- 자동차 및 센서 기반 응용에 최적화된 고전압 LDMOS 트랜지스터
-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 옵션 제공
BCD 공정 기술 로드맵
GlobalFoundries는 BCD 공정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공정 노드 축소: 130nm 및 180nm 공정에서 55nm 공정으로의 전환
- 전압 범위 확장: 더 높은 전압을 지원하는 트랜지스터 개발
- 자동차 등급 인증 강화: 고온 등급(Auto Grade 1) 인증 추가
- E-Flash 기술 도입: 플래시 메모리가 필요한 응용 분야로의 확장
'반도체 > 파운드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HHGrace (화홍그레이스) : 중국 파운드리 2위 업체 (1) | 2025.04.15 |
---|---|
[반도체] SMIC : Foundry 5위, 중국 파운드리의 자존심 (0) | 2025.04.15 |
[반도체]대만 파운드리 UMC : GF와의 합병설도 모락모락 나오는데~ (1) | 2025.04.13 |
[반도체] 경이로운 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TSMC" (1) | 2025.04.12 |
[반도체] "반도체 파운드리 " 주요 업체 알아보기 (0) | 2025.04.06 |